본문 바로가기

굼벵이

말매미 폭염의 절정과 더불어  매미들의 합창이 아침부터 시작된다.  매미는 폭염의 상징이라 그리 달갑잖은 소리인데, 카메라를 들고 가까이 가보니 이놈들이 나를 겁내는 게 아니고 지나다가 내 팔뚝에 앉기도 한다. 옛날에는 매미소리가 우째 시원한 느낌으로 들였을까?  매미에 대해 알아보니 크게 참매미, 애매미, 말매미 등 여러 종류의 매미가 있는데, 땅속에서 유충(굼벵이)으로 수년간 생활하다 주로 7월에 세상 밖으로 나와 천적을 피해 밤에 우화를 한다. 특성상 매미들은 껍질이 두꺼운 나무에는 잘 붙지 않고 수피가 얇은 나무에 잘 붙는다고 한다.     매미가 우는 것은 수컷으로, 수컷은 우화 후 3~5일 지나 울기 시작한다. 길어야 한 달 정도 종족 보존을 위해 짝을 찾는 구애 행위를 하는데, 일반적으로 참매미는 .. 더보기
폭염속의 매미 소리 일시 : 2013.08.11 지난 목요일(8/8) 울산지방에 38,8°℃라는 기록적인 기온을 나타내더니어제는 김해지방이 39,2℃로 올해 전국 최고를 찍었습니다. 극성을 부리는 기록적인 폭염에 몸과 마음이 지친 상태에서 도심 가로수와 아파트 창문에 붙어 짝을 찾기 위해 목청껏 울어대는 말매미의 소리를 듣노라니 짜증을 더하게 합니다.     2011. 7월 말 참매미의 우화하는 모습을 직접 찍은 모습입니다.  옛날 시골의 당산나무 밑에서 더위를 식힐 때 불어오는 바람과 함께 들리는 매미소리는 시원하게 들렸는데, 그 아련한 추억은 멀어가고 여름만 되면 짜증스런 존재로 각인되었습니다. 매미가 우는 것은 수컷으로, 특수한 발음기를 갖고 있어 높은 소리를 내는데땅속에서 유충(굼벵이)으로 수년간 생활하다 주로 7월.. 더보기
매미 우화(환골탈태) 대표적인 여름 곤충 매미의 우화를 관찰하기 위해 퇴근해서 저녁을 먹고 다시 출근(?)을 했습니다. 우화 후의 껍데기가 많이 붙어 있었던 히말라야시타를 위시해 그 주위를 주기적으로 렌턴을 들고 몇 번을 찾아 나선 결과 운 좋게도 애벌레에서 우화를 하는 모습이 포착되어 열심히 셔터를 눌렀습니다. 참매미는 알에서 성충까지 보통 3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매미로 라이프 사이클이 짧은 편이라고 합니다.                   여름에 세상 밖으로 나온 매미는 달콤한 사랑을 한 달 정도 나눈 뒤 생을 마감한다고 합니다.           수컷은 암컷과 짝짓기를 한 뒤 죽고, 암컷은 알을 낳고 죽는답니다.                                                     매미의 알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