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발도리

화려하게 핀 말발도리 꽃 만어사 옆 산골짜기 돌틈에서 화려하게 꽃을 피운 말발도리 꽃을 대면하였습니다. 크기는 약 2m 높이까지자란다고 합니다.  참고로 열매의 모양이 말발굽의 편자 모양과 비슷하여 나무 이름이 되었다고 합니다. 학명 : Deutzia parviflora분류 : 범의귀과 / 낙엽활엽관목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강해서 아무 곳에서나 잘 자라며, 토질을 가리지 않고 건조지나 습지에서도 잘 견딘다고 합니다.    가지 끝에 지름 10~12mm 정도의 구슬 같은 작은 홑꽃들이 모여 뭉개구름처럼 뭉쳐서 피는 모양이 대단히 아름답습니다. 꽃은 흰색이며 5∼6월에 피고 산방꽃차례에 달리는데 꽃 지름은 약 12mm 정도라고 합니다. 꽃잎과 꽃받침조각은5개씩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는 3개입니다.     어린 가지에 성모.. 더보기
만첩빈도리 말발도리의 근연종으로 일본이 원산지이다. 꽃은 6~7월에 피며, 보라색이 도는 노란색이다. 붉은 빛을 띤 꽃 봉우리가 벌어지면서 안쪽에 순백색의 겹꽃이 여러 겹으로 핀다. 가지를 따라 온 나무를 덮으면서 피어 대단히 아름답다. 말발도리와 비슷하지만 속이 비었기 때문에 빈도리라고 하고, 만첩으로 꽃이 피는 것을 만첩빈도리라고 한다. 학명 : Deutzia crenata for. plena Schneid 분류 : 수국과 / 낙엽활엽관목 더보기
말발도리와 만첩빈도리 말발도리 열매의 모양이 말발굽의 편자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나무 이름이 붙여졌다는데, 지면 가까이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이루어 자라며, 바깥쪽의 긴 가지는 밑으로 휘어져서 땅에 닿는다. 만첩빈도리가 겹꽃인데 반해 말발도리는 홑꽃이다.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강해서 아무 곳에서나 잘 자라며, 특히 토질을 가리지 않고 건조지나 습지에도 잘 견딘다. 학명 : Deutzia parviflora 분류 : 범의귀과(장미목) / 낙엽활엽관목 만첩빈도리 말발도리의 근연종으로 붉은 빛을 띤 꽃 봉우리가 벌어지면서 안쪽에 순백색의 겹꽃이 여러 겹으로 핀다. 가지를 따라 온 나무를 덮으면서 피어 대단히 아름답다. 원산지는 일본이다. 학명 : Deutzia crenata for. plena Schneid. 분류.. 더보기
말발도리 열매의 모양이 말발굽의 편자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나무이름이 붙여졌다. 가지 끝에 지름 10~12mm 정도의 구슬 같은 작은 홑꽃들이 모여 뭉개구름처럼 뭉쳐서 피는 모양이 대단히 아름답다. 학명 : Deutzia parviflora 분류 : 수국과 / 낙엽활엽관목 더보기
만첩빈도리 말발도리의 근연종으로 일본이 원산지이다. 붉은 빛을 띤 꽃 봉우리가 벌어지면서 안쪽에 순백색의 겹꽃이 여러 겹으로 핀다. 가지를 따라 온 나무를 덮으면서 피어 대단히 아름답다. 학명 : Deutzia crenata for. plena 분류 : 범의귀과 / 낙엽활엽관목 더보기
말발도리 열매의 모양이 말발굽의 편자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나무 이름이 붙여졌으며, 산과 들의 계곡지대에서 바위틈이나 전석지 등에 자란다.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강해서 아무 곳에서나 잘 자라며, 특히 토질을 가리지도 않고 건조지대나 습지에도 잘 견딘다. 가을에 익는 열매와 단풍은 트별한 관상가치가 없다. 우리나라가 원산지로 꽃말은 "애교"이다. 학명 : Deutzia parviflora Bunge 분류 : 낙엽활엽관목 / 범의귀과 높이 2m이고 작은 가지는 녹빛을 띤 갈색 또는 녹색이며 털이 있고 늙은 가지는 검은 회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3~6cm, 너비 2~4cm이지만 달걀모양, 달걀형 타원모양 또는 달걀형 바소모양이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잔거치가 있다. 꽃은 너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