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서나물
붉은서나물이라는 이름은 풀의 모습이 토종 자생식물인 쇠서나물과 닮았고 줄기가 붉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쇠서나물은 줄기와 잎에 거센 털이 많이 나 있는데, 그게 소의 혀처럼 깔깔해 보여 그런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다. 붉은서나물은 털이 없답니다. 학명 : Erechitites hieracifolia 분류 : 국화과 / 한해살이풀 , 붉은서나물은 솜풀, 대룡국화, 민머위나물, 물쑥갓으로도 불렸다고 한다는데, 붉은서나물의 꽃말은 흥분이라고 하네요. 미국 원산의 귀화식물로, 높이가 1∼2m 정도 자라며 줄이 있고 연약하며 다소 붉은빛이 돕니다. 잎은 어긋나기를 하고, 꽃은 9∼10월에 핀다고 하는데, 벌써 8월초에 만개한 경우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두화(頭花)는 산방상으로 배열하고, 포조각은 1..
더보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