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레지 썸네일형 리스트형 천성산 상리천~짚북재(집북재)~중앙능선~성불암계곡 코스를 등산하다. 일시 : 2018.03.17.(토요일)날씨 : 맑음동행자 : 아들 내원사매표소에서 시작해 노전암을 들러고, 상리천을 따라 오르며 봄꽃들을 만나며 짚북재로 오르고 중앙능선을걷다가 다시 성불암계곡으로 내려와 얼레지군락지에서 놀다가 내원사매표소로 내려오는 등산을 하기로 한다. 등산코스 : 내원사매표소(10:16)~노전암(10:48)~영산대·짚북재갈림길(11:41)~짚북재(12:32)~ 짚북재·천성산2봉갈림길(12:42)~중앙능선(13:37)~적멸굴갈림길(13:59)~성불암계곡갈림길 (14:34)~성불암계곡(14:48)~성불암갈림길(15:21)~내원사매표소(15:44) 등산거리 : 10,18km(총소요시간 : 5시간27분-야생화 찍는 등 시간개념 없음) .. 더보기 얼레지의 아름다운 자태 꽃잎을 뒤로 활짝 젖힌 모양새가 귀부인 같고 군락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보노라면 숲속의 여왕 같다. “가재무릇”이라고도 하는 얼레지의 꽃말은 “질투”, “바람난 여인”으로 날렵한 몸매와 주위 꽃들이 질투심을 가질 만한 자태라 생각이 든다. 전국의 산속 비옥한 땅에 군락을 이루며, 꽃은 4~5월에 개화를 한다. 홍자색의 꽃잎은 6장으로 뒤로 말리며 피침형이다. w자 모양의 암자색 무늬가 있다. 잎을 나물로 하고 비늘줄기를 약용으로 이용된다. 번식은 알뿌리 나누기는 어렵고 씨앗으로 번식이 가능하다. 7월에 씨가 익으면 바로 직파를 한다. 참고로 이식은 싫어한다. 학명 : Erythronium japonicum 분류 : 백합과 / 여러해살이풀 더보기 금정산 갑오봉~장군봉~창덕봉~은동굴~둘레길(누리길)을 등산하다. 일시 : 2016.04.02.(토요일)날씨 : 맑음(미세먼지 농도-나쁨) 범어사에서 청련암을 거쳐 사배고개에서 갑오봉~장군봉~창덕봉 코스를 등산하기로 하고 범어사로 향하였다. 먼저 종무소에 들러 신도 회비를 납부하고, 대웅전을 거쳐 등산을 시작하였다. 봄답지 않은 고온현상이 오늘도 이어진다. 신록이 솟는 계명봉 능선엔 가을의 단풍인양 단풍나무들이 붉은색의 신초를 내밀고 있다. 참 신기하게 보인다. 등산코스 : 범어사(09:23)~청련암~사배고개(09:44)~갑오봉(10:20)~장군봉(10:49)~창덕봉(11:10)~ 금정산 다방봉·은동굴 갈림길(11:26)~은동굴(11:59)~금륜사(12:41)~새 등산로(누리길)~ 사송분기점(13:24)~범어사.. 더보기 얼레지 얼레지를 만나기 위해 2주 만에 천성산을 찾았다. 막바지의 모습이지만 반가워 여러 군락지에서 마음껏 감상을 하였다. “가재무릇”이라고도 하는 얼레지의 꽃말은 “질투”, “바람난 여인”으로 자세히 보노라면 꽃잎을 뒤로 활짝 젖힌 귀부인과 같아 날렵한 몸매와 주위 꽃들이 질투심을 가질 만한 자태라 생각이 들었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녹색 바탕에 자주색 무늬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을 나물로 하고 비늘줄기를 약용으로 이용된다. 번식은 알뿌리 나누기는 어렵고 씨앗으로 번식이 가능하다. 7월에 씨가 익으면 바로 직파를 한다. 참고로 이식은 싫어한다. 학명 : Erythronium japonicum 분류 : 백합과 / 여러해살이풀 티 없이 깊은 산골에 살면서도 누구보다 요염한 자태를 뽐내는 꽃이.. 더보기 천성산 집(짚)북재~중앙능선 코스를 등산하다. 일시 : 일시 : 2015.04.04(토요일)날씨 : 맑음~흐림동행자 :없음 성불암계곡에 산재해 있는 막바지의 얼레지도 만날 겸 어머님 품속 같은 천성산, 그 한 자락 짚북재를 오르는 등산을 하였다. 명륜동지하철역에서 13번(12번도 가능) 언양행 버스로 환승해 내원사 입구 용연마을에서 하차해 용연천을 흐르는 맑고 그윽한 물소리를 들으며 도로 옆 목재다리 산책길로 해서 걸었다. 2주 만에 걷는 길이지만 그사이에 봄이 어찌나 뛰어 왔던지 생기 있는 옷으로 갈아 입고 있음을 느낀다. 등산코스 : 용연마을 버스정류장(09:10)~내원사매표소(09:35)~성불암계곡~무명폭포(10:47)~짚북재(11:56)~ 중앙능선~적멸굴(12:56)~중앙능선~내원사매표소(14:31)~용연마을(1.. 더보기 이전 1 2 다음